728x90 우리나라 생물 정보/해조류의 질병8 [양식 김의 질병 8편] 의사흰갯병(White rot disease) 의사흰갯병이란? 흰갯병과 유사한 증상의 질병으로 발병상황에 있어서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김발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상엽, 유엽, 유아를 가리지 않고 모두 발병하는데, 특히 유아에까지 감염됨으로 김 생산량에 심각한 영향을 끼칩니다. 그리고 전염성이 있어 새로 발아하거나 다른 김발에 이식하여도 발병하므로 김발을 과도하게 설치하여 밀식 양식하는 경우에 심하게 발병합니다. 이 병의 대책으로는 김발의 높이지 않고 오히려 낮추어 감염된 엽체의 유실을 늦추어 수확 가능한 것을 수확한 다음, 양식장에 있는 모든 김발을 완전히 철거하고 7~10일 후에 건강한 김발을 이식하여 양식하는 방법이 현재 가장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외부증상 의사흰갯병의 공통적인 특징은 병의 증상이 진행되면 엽체의 폭이 넓어지고, 길이는.. 2023. 1. 7. [양식 김의 질병 7편] 흰갯병(White blight disease) 흰갯병이란? 김 양식장에서 재래식 김발인 나뭇가지나 대나무 등을 이용하여 양식할 때 많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특히 이 병은 조생종의 김에 빈발하며 송지식의 경우 가지 밑 부분에 부착해 있는 김 엽체에 발생하며, 길게 성장한 엽체에 심하게 발생합니다. 흰갯병은 주간의 건조시에도 김 엽체가 수중에 잠겨있어 노출 부족, 광선 부족 등의 요인에 의한 생리장애에 의한 갯병으로 발병시기는 11월 중하순부터 12월 하순까지 간조 수위가 높을 때입니다. 또한 병의 발생, 증상 등은 같은 김발에서도 바깥쪽에 있는 김발보다 안쪽에 있는 김발에, 외해 쪽에 있는 김발보다 육지 쪽에 가까운 김발에 심하게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조류 소통과 수온도 이 병의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됩니다. 반면에 흰갯병은 같은 층에 자라고 .. 2023. 1. 7. [양식 김의 질병 6편] 규조류부착증 규조류부착증이란? 엽체의 표면에 규조류가 부착하는 질병으로 대표적인 종은 Licmophora, Skeletonema, Eukampia zodiacus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수온 등 해양환경 변화로 열대역에서 온대역에 분포하는 적조생물 원인 종인 Coscinodiscus wailesii가 겨울철에 연안역에서 양식중인 김에 병해를 유발하고 있습니다. 규조류가 대량으로 발생하면 김과 영양분을 경쟁하게 됨으로 김의 성장이 불량해지며 김의 엽체가 탈색되어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특히 Eukampia zodiacus는 대형의 규조루 고온성이며, 빠른 성장을 합니다. 이 때문에 양식 해역의 영양분을 다량으로 소비하고 다른 식물성 플랑크톤에 비해 저영양 상태에서 증식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 2023. 1. 3. [양식 김의 질병 5편] 구멍갯병(Shot hole disease) 구멍갯병이란? 구멍갯병은 저염분의 해수에서 기계적인 자극이 원인이 되어 엽체 전면에, 특히 상부에 지름 1~4mm의 구멍이 생기는 병입니다. 이 병은 하구 가까이 담수의 영향을 받기 쉬운 어장 등에서 볼 수 있고, 특히 김 생장이 잘되는 11~12월에 큰비가 있고 토사가 섞인 물이 흘러 온 뒤에 심하게 발생합니다. 충분한 노출과 냉동망을 통한 저온 처리로 회복되기도 합니다. 구멍갯병과 녹반병은 엽체의 구멍이 생기는 점에서 유사하여 혼동하기 쉬우나 명백히 별개의 병으로 간주됩니다. 외부증상 발병 초기에는 주로 엽체의 상반부에 많은 구멍이 생기고, 구멍의 둘레는 청록색으로 퇴색하여 매우 잘 허물어집니다. 청록색의 병든 부분은 차차 커져서 중앙부는 붕괴하여 지름 1~4mm의 구멍이 엽체 전체면에 나타나며, 심.. 2023. 1. 3. 이전 1 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