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43

[양식 김의 질병 4편] 사상세균부착증(filamentous bacterial felt disease) 사상세균부착증이란? 사상세균의 일종인 Lucothrix mucor(최근 무색 남조류로 취급되고 있음)가 부착하여 생기는 병입니다. 사상세균의 기부가 김 세포막의 표층에 들어가 있으나 세포막을 뚫고 내부까지 침입하지 않습니다. 균의 크기는 다양한데 작은 것은 빈영양 해역, 큰 것은 부영양 해역에 많으므로, 환경의 차이에 따른 변이라고 생각됩니다. 거의 모든 김 양식장에서 나타나며, 대체로 풍랑이 적은 내만 안쪽이나 하구 어장에 많고, 다른 병에 걸린 엽체에 많이 붙어 있기도 합니다. 어장에 따라서는 별다른 피해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외부증상 이 세균이 많이 붙으면 엽체 전체가 쪼그라들고 가장자리부터 허물어집니다. 아직은 사상세균의 김에 대한 병원성에 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사.. 2022. 12. 29.
[양식 김의 질병 3편] 녹반병(Green spot disease) 녹반병이란? 김 엽체에 녹색의 원형 또는 반원형의 병변부가 생겨 시간이 경과되면 이 병변부가 유실되는 질병입니다. 이 병은 일본에서 1968년 히로시마에서 처음 발병이 확인된 후 현재는 전 어장에서 발병하고 있습니다. 매년 발생되는 질병으로 김의 전 양식기간에 걸쳐 발생되는데, 특히 부영양의 내만성 어장 및 유기성 폐수의 유입이 있는 곳에 많이 발생하는 경향으로 가장 심한 시기는 11~12월입니다. 수온이 높을 때 특히 비온 후나 엽체를 채취한 후에 많이 발생하는 경향입니다. 녹반병은 유엽에서 성엽에 빈발하지만 어린 엽체에는 거의 감염되지 않습니다. 녹반병의 감염은 수확량과 품질 이외에는 산업적 피해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외부증상 발병 초기에는 주로 엽체의 위쪽에 직경 1mm 정도의 적색.. 2022. 12. 21.
[해조류 도감-33] 가시파래(Enteromorpha prolifera) 가시파래 생물분류 학명 : Enteromorpha prolifera 계 : 식물계 문 : 녹조식물문 강 : 갈파래강 목 : 갈파래목 과 : 갈파래과 가시파래 특징 엽체의 색깔은 녹색 또는 연녹색을 띠며 높이 10~30cm 정도이고 모양이나 크기가 매우 다양하여 수m에 이르는 것도 있습니다. 몸 전체가 통모양으로서 약간 납작하고 많은 곁자리를 내고, 곁가지는 다시 작은 가지를 냅니다. 일부 지역(서산, 태안지역 등)에서는 겨울철 특산물이며 이름을 감태라고 부르는데, '달콤한 김'이라는 뜻입니다. 또한 남도에서는 감태지라고도 부르는데, 다시마목 미역과의 갈조류인 감태와는 상관관계는 없습니다. 내만 또는 민물의 유입으로 영양이 풍부하고 오염원이 없는 강 어귀 등지에 서식하고 주로 바위 위나 죽은 나뭇가지 위 .. 2022. 12. 20.
[해조류 도감-32] 참곱슬이(Plocamium telfairiae) 참곱슬이 생물분류 학명 : Plocamium telfairiae 계 : 식물계 문 : 홍조식물문 강 : 홍조강 목 : 곱슬이목 과 : 곱슬이과 참곱슬이 특징 식물체는 붉은색이며 막질이고 가느다란 띠 모양으로 가장자리에서 가지를 많이 냅니다. 중심줄기는 뚜렷하지 않고 작은가지는 톱날 모양으로 한쪽에서 2개씩 나란히 납니다. 조하대의 암반에서 서식하며, 우리나라 동해안 및 남해안에 분포합니다. 세계적으로는 가나, 남아프리카공화국, 대만, 모잠비크, 일본, 중국, 필피핀 등 각지에 서식합니다. 참곱슬이 활용 찹곱슬이는 식용하지 않으며,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그 추출물의 효과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중입니다. 참곱슬이 효능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대장암, 자궁경부암, 유방세포암 등 암세포 성장을 억.. 2022. 12. 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