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갯병이란?
난균류(Oomycetes, Oomycota)에 속하는 Pythium porphyrae의 감염에 의한 것으로
김양식장의 피해가 심각한 질병중의 하나입니다.
붉은갯병이 자주 발생하는 환경 조건으로 고수온(12~15℃ 또는 그 이상)으로 기후가
따뜻하고 바람이 없을 때에 자주 발생합니다.
또한 하천수의 유입이 많거나 비가 많이 오고난 후, 김발의 엽체가 어느 정도 성장하였으나
채취하지 않을 때, 양식장 관리 부실의 이유로 유발시킵니다.
붉은갯병은 매년 같은 시기에 일어나는 경향이 있으며, 최근에는 10월 말부터 12월에 걸쳐 빈발하는
경향을 보이며, 양식 김의 종류에 따라서 갯병에 의한 피해가 차이가 납니다.
외부증상
붉은갯병은 육안으로 관찰하기 쉬운 편인데 김 엽체의 여러 곳에 둥글게 붉게 녹슨 모양의 반점이
관찰되면 이 질병이 발생한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점은 급속히 확대되어 서로 합쳐서서 큰 병반을 형성하며, 나중에 녹황색, 담황색으로
변하면서 점차 퇴색되어 갑니다.
질병이 더욱 진행되면 병반의 가장자리가 적색을 띄게 됨으로 확실히 구별됩니다.
탈색된 병반부는 점차 부패하여 탈락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엽체 밑 부분에 감염되면 엽체가 김발에서
떨어져나가 소실하게 됩니다.
만약 병이 엽체 여러 곳에 크고 작게 발생하면 엽체는 수축된 상태로 되어 김발 위에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위의 언급한 외부증상과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으며 다른 질병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병의 감염된 부위를 잘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균을 식별하여 진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붉은개볏은 단독으로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갯병과 함께 발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질병의
혼합 또는 복합된 증상으로 나타는 경우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생물 정보 > 해조류의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식 김의 질병 6편] 규조류부착증 (0) | 2023.01.03 |
---|---|
[양식 김의 질병 5편] 구멍갯병(Shot hole disease) (0) | 2023.01.03 |
[양식 김의 질병 4편] 사상세균부착증(filamentous bacterial felt disease) (0) | 2022.12.29 |
[양식 김의 질병 3편] 녹반병(Green spot disease) (0) | 2022.12.21 |
[양식 김의 질병 2편] 호상균병(Chytrid disease) (0) | 2022.1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