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나라 생물 정보/해조류

[해조류 도감-11] 꼬시래기(Sea string)

by 철마백구 2022. 11. 21.
728x90
728x90

꼬시래기 생물분류

학명 : Gracilaria vermiculophylla

계 : 식물계

문 : 홍조식물문

강 : 홍조강

목 : 꼬시래기목

과 : 꼬시래기과

출저 : http://www.NOBANIS.org

꼬시래기 특징

홍조류의 일종으로 직경 1~3mm의 줄기가 보통 20cm 정도 성장하며 최대 2~3m까지 자랍니다.

 

몸통은 작은 쟁반 모양의 뿌리에서 모여나고 원기둥 모양이며, 촘촘하게 깃꼴로 갈라지고 가지는 한쪽으로 치우쳐 나기도 합니다.

 

몸에서 뻗어나온 가지는 지름 1~2mm 정도의 철사 마용으로 검은빛을 띤 자주색 또는 짙은 갈색입니다.

 

조간대의 돌·조개껍데기 등에 붙어 사는데, 특히 강물이 바다로 흘러 드는 얕은 바닷가의 자갈이나 말뚝 등에서 번식하며 외해의 암초 위에서도 자랍니다.

 

특히 내만에서는 큰 군락을 이루며 민물이 흘러 드는 곳에는 간혹 매우 큰 개체들이 있기도 하며, 서식장소에서 떨어진 몸통과 가지는 바다 속 어디서나 떠돌아다닐 수 있고, 그 사이의 생장이 빨라서 보통의 붙어 사는 식물체보다 더 커집니다.

 

장흥·완도·해남·진도에서는 꼬시락이라 합니다.

 

여담으로 부산 근처에서는 망둑어라는 어종을 꼬시래기라고 합니다.

꼬시래기 활용

꼬시래기는 식용가능하며 우뭇가사리와 마찬가지로 한천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자연 채취하며 건조시켜서 보관합니다.

 

일부 해양지역에서는 꼬시래기를 국수 대용으로 먹는데 실제로 무침이나 저칼로리 국수면으로 많이 섭취합니다.

 

꼬시래기를 '바다의 냉면'이라고 부르는 이유기도 합니다.

 

초봄부터 늦가을까지가 제철입니다.

꼬시래기 효능

꼬시래기는 지방과 탄수화물 함량이 낮고 칼슘과 식이섬유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변비예방 등 다이어트에 효과적이고

체내 중금속배출 등의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칼슘과 철분도 풍부해서 골다공증 예방에 좋으며, 꼬시래기에 들어있는 타우린 성분은 간기능 회복, 숙취해소에 도움을 줍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