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미역 생물분류
학명 : Costaria costata
계 : 식물계
문 : 대롱편모조식물문
강 : 갈조강
목 : 다시마목
과 : 쇠미역과
쇠미역 특징
썰물대의 낮은 곳에서 생육하며, 식물체는 가는 섬유상의 뿌리에서 6~20cm로 길고 굵으며 상부가 편압된 둥근 줄기가 나고 그 위에 길이 1~2m, 나비 5~30cm의 길쭉한 엽상부가 있습니다.
이 엽상부는 기부가 어릴때는 쐐기꼴을 하고 있다가 노성하면 둥근 달걍 모양이 되는데, 어릴 때는 3줄이고 성숙하면 5줄의 뚜렷한 중륵과 크고 작은 구멍이 뚫린 엽면이 있습니다.
중륵은 항상 엽면에서 튀어나와 있는데, 두 가장자리의 것과 중앙의 것은 같은 면으로 나머지 2개는 다른 면으로 튀어나왔습니다.
엽면에 용 모양의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며, 황갈색 또는 암갈색을 띠는 두꺼운 혁질이고 점액성은 없습니다.
1~3월의 이른봄에 어린 개체가 나타나서 초여름에는 성숙하여 생식세포를 형성한 다음, 저절로 녹아버립니다.
한국(동해안의 중부 이북)·일본 북부·사할린·북태평양 북부·배링해 등지에 광범위하게 분포합니다.
쇠미역을 일부 지방에서 혹은 생심새로 곰피라는 해조류와 착각하기도 하는데 둘은 다른 종입니다.
곰보미역이라고도 부릅니다.
쇠미역 활용
쇠미역은 인공종묘 생산에 성공하였으나 아직까지는 대량 양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라 자연산 채취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쇠미역은 식감이 좋아서 식용으로 많이 활용됩니다.
데쳐서 쌈미역으로 먹으면 일품이며 미역국으로 끓여서 먹습니다.
쇠미역 효능
쇠미역은 저열량, 저지방 식품으로 다이어트에 좋고 식이섬유소가 풍부하여 포만감을 주며, 장운동을 활발히 해 변비를 예방합니다.
알긴산이 풍부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을 배출시켜 고지혈증을 예방합니다.
'우리나라 생물 정보 > 해조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조류 도감-19] 매생이(Seaweed fulvescens) (0) | 2022.12.02 |
---|---|
[해조류 도감-18] 돌가사리(Chondracanthus tenellus) (0) | 2022.11.29 |
[해조류 도감-16] 방사무늬돌김(Laver) (0) | 2022.11.27 |
우리나라 해조류의 역사 (0) | 2022.11.26 |
[해조류 도감-15] 참갈파래(Sea lattuce) (0) | 2022.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