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나라 생물 정보/해조류

[해조류 도감-4] 우뭇가사리(Agar)

by 철마백구 2022. 11. 16.
728x90
728x90

우뭇가사리 생물분류

학명 : Gelidium amansii

계 : 식물

문 : 홍조식물문

강 : 진정홍조강

목 : 우뭇가사리목

과 : 우뭇가사리과

우뭇가사리 특징

식물체는 자홍색이며 연골질인 납작한 실 모양으로 깃털처럼 가지를 많이 내어 다발을 이루는 모양입니다.

 

피층은 작은 구슬같은 세포가 2~3겹으로 이루어졌고 수조직은 두꺼운 세포벽을 가진 원통모양의 세포가 식물체의 길이에 나란히 배열하여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년생 해조류로 배우체에 의한 유성세대와 사분포자체에 의한 무성세대가 규칙적으로 반복됩니다.

 

우리나라 동해안·남해안과 황해의 바깥 도서에 분포하며 동해 남부의 연안에 가장 많이 서식합니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5~11월에 생육하며, 저조선 부근에서 점심대 20~30m 깊이의 바위에 붙어 자라는데 해수 소통이 잘 되는 곳에 서식합니다.

우뭇가사리 활용

아직 양식법이 개발되지 않아서 자연 채취하여 생산하는데 보통은 암반 갯닦기로 잡조를 제거하거나, 큰 바위 투석 등의 방법으로 번식 면적을 확대시켜 생산량을 늘리는 방법을 쓰고 있습니다.

 

우뭇가사리는 예로부터 채쳐서 양념한 무침 등의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습니다.

 

우뭇가사리는 식용보다는 얼려서 말린 한천으로 식품첨가제(양갱 원료, 제과, 조리, 유제품, 육류저장용 등) 및 공업용(필름, 방수포, 인쇄지, 각종 모형 성형용, 연마제도료 등)으로 널리 쓰입니다.

 

또한 농업용으로 살충제, 농약안정제, 양조용, 각종 화장품 원료, 의약용뿐만 아니라 학술연구용 등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합니다.

 

한천은 응고력이 세고, 응고한 것은 비교적 용융점이 높고 잘 부패하지 않으며, 물과의 친화성이 강하여 수분을 일정한 형태로 유지하는 능력이 큰 특징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한천은 외국에 많이 수출되고는 있으나, 학술연구용과 같은 순도가 높은 한천이나 아가로오스, 세파로오스 등은 전적으로 수입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우뭇가사리 효능

우뭇가사리는 식이섬유소가 풍부하고 칼로리가 낮아 건강을 생각하는 웰빙식품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미네랄, 요오드, 칼륨 등도 풍부하게 들으며, 배변작용을 좋게 하여 비만 환자에게 적합한 식재료입니다.

우뭇가사리 명칭

속명인 Gelidium은 라틴어로 「응고」라는 뜻을 가진 gelidus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부산·장흥·서산·통영·거제에서는 '우무', 울릉·목포 및 강원·경남지역에서는 '천초', 울산에서는 '까사리', 제주에서는 '우미', 강릉·속초·동해·삼척·양양과 고성에서는 '한천'이라고 부릅니다.

 

생김새가 소의 털과 흡사하다하여 '우모초'라 부르기도 하며, 끓인 다음 식히면 얼음처럼 굳는다 하여 '해동초'라고 <자산어보>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