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나라 생물 정보/해조류

[해조류 도감-1] 미역(Sea mustard)

by 철마백구 2022. 11. 13.
728x90
728x90

미역 생물분류

학명 : Undaria pinnatifida

계 : 원생물계

문 : 부등편모조문

강 : 갈조류강

목 : 다시마목

과 : 미역과

사진 출저 : http://www.scienceimage.csiro.au/image/952

미역 특징

외형적으로는 뿌리·줄기·잎의 구분이 뚜렷한 엽상체 식물입니다.

 

몸은 엽상으로 높이 1~2m가 되며, 잎의 부분은 막상으로 폭이 넓어 좌우에 날개모양의 벤 자국이 있고 또한 표면에는 많은 주름이 있습니다.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등 비교적 낮은 수온의 온대성 연안지역에 자연 서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 연안해역에 분포하나, 한류와 난류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지역에는 분포하지 않습니다.

 

미역은 단년생 해조류이며 대체로 가을에서 겨울 동안에 자라고 봄에는 초여름 동안에 유주자(무성포자)를 내어서 번식하는데, 유주자는 곧 발아하여 배우체(유성세대)로 되어서 여름을 납니다.

 

가을이 되어 수온이 다시 내려 20℃ 이하가 되면 배우체가 성숙하여 아포체가 되며, 이 아포체가 잘 자라고 미역 단엽의 유체가 됩니다.

 

이 유체가 자라서 중륵이 생기고 우상열편이 생겨서 포자체인 미역의 본체로 자랍니다.

미역 생활사(출저 : 국립수산과학원)

 

미역의 구분(북방산 미역, 남방산 미역)

국내에서 생산되는 미역은 서식처 환경에 따라 크게 남방산 미역과 북방산 미역으로 나뉩니다.

구분 남방산 북방산
엽장(전체장) 소형 대형
줄기의 길이 짧다 길다
포자엽의 위치 엽상부와 근접 엽상부가 떨어져 있음
포자엽의 수 적다(2~4) 많다(6~20)
엽편의 모양 열각이 얕고, 엽폭이 1/3 열각이 깊고, 거의 중륵 가까이에 이름
서식지 일반적으로 얕은 곳에 생육 외양에 면한 파랑이 강한 곳, 조류가 빠른 깊은 곳에 생육
분포 남해안, 제주도 동해안

미역 효능

미역은 칼슘의 함량이 많을 뿐 아니라 흡수율이 높아서 산모에게 좋고 갑상선호르몬의 주성분인 요오드의 함량도 많습니다.

 

또한 혈압강하작용을 하는 라미닌이라는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혈액 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섬유질의 함량이 많아서 변비 예방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미역 활용

미역생산은 대부분 유주자를 가는 실에 받아서 실내 수조에서 배우체 시기를 배양하여 가을에 어린 아포체 상태까지 배양한 뒤 바다에 설치한 밧줄에 감아서 양식합니다.

 

양식은 동해남부연안과 완도를 중심으로 하는 남해안에서 가장 성행하고 있으며, 자연산 미역은 거의 쇠퇴하여 남해안 일부 지역에서 채취하고 있습니다.

 

미역은 다시마와 함께 전복 양식의 주요 먹이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만 식용으로 이용됩니다.

 

옛 기록은 보면 "고래가 새끼를 낳은 뒤 미역을 뜯어 먹어 산후의 상처를 낫게하는 것을 보고 고려 사람들이 산모에게 미역을 먹인다"라고 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에 유래되어 예로부터 해산을 한 산모에게 미역국으로 끓여 먹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식용방법은 미역국, 미역무침, 미역냉국 등이 있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