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마 생물분류
학명 : Saccharina japonica
계 : 유색조식물계
문 : 대롱편모조식물문
강 : 갈조류강
목 : 다시마목
과 : 다시마과
다시마 특징
엽상체는 한 장으로 단순하며, 어린 엽상체에는 세로로 배열된 수포 모양의 돌기가 있으나 6개월 이상 자라면서 대부분은 사라지며 매끈해지고, 엽신의 가장자리에는 물결모양의 주름이 있거나 없습니다.
길이는 1.5~3.5m, 너비는 25~40cm이며, 잎의 가운데 부분은 두께 1.8~3.5mm로서 약간 두껍습니다.
엽체는 포자세대로서 겉보기에 줄기·잎·구분이 뚜렷합니다.
한해·아한대 연안에 분포하는 한해성 해조류로서 한국에는 동해안 북부, 원산 이북의 함경남도, 함경북도 일대에서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밖에 일본 훗카이도와 도호쿠 지방 이북 연안, 캄차카반도, 사할린 섬 등의 태평양 연안에도 분포합니다.
다시마는 태평양 연안에 20여 종이 자라고 있으며 10m 이상의 큰 종류도 있는데, 주요 종으로 참다시마(L.japonica)입니다.
다시마는 포자체가 크고 배수의 염색체를 지닌 복상세대와 반수인 염색체를 가지는 단상세대가 되풀이되는 이형세대교번을 합니다.
다시마 효능
다시마는 '바다의 야채'로 불리며 식이섬유, 아이오딘, 칼슘, 셀레늄 등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지니고 있어 다이어트, 각종 성인병과 대장암 그리고 갑상선 등 질환예방에 좋습니다.
약리연구 통해서 과학적으로 밝혀진 내용으로는 요오드 보충, 협압강화, 항응혈, 혈중지방 조절 및 항종양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의학에서는 소담연견, 이수소종 등의 효능이 있습니다.
다시마 약리작용
1. 요오드 보충제
다시마는 요오드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요오드 결핍증상 중 하나인 갑상선 기능저하를 치료할 수 있습니다.
2. 혈전 억제
다시마의 다당류 성분은 혈전생성과 혈액응고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3. 혈지 및 혈당 감소
다시마의 물 추출물은 혈당농도와 간의 지질과산화반응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4. 면역조절
다시마의 다당과 라미나린은 면역조절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5. 항종양
다시마의 물 추출물은 실험결과 암세포 억제효과가 일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6. 간 보호
다시마의 후코이단 성분은 간에 대한 세포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간 보호작용을 유도합니다.
다시마 활용
다시마 생산은 동해안부터 제주도를 제외한 전 연안에서 양식으로 생산합니다.
주로 양식하는 종류는 일본 훗카이도 원산의 참다시마인데, 다년생 해조류로 1년생은 상품가치가 없으며 2년생 엽체부터 채취하여 판매합니다.
미역과 마찬가지로 전복 양식장의 전복 먹이로 활용되며,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중국에서 식용하고 있습니다.
옛 기록을 보면 500년 경 양나라 도홍경이 편찬한 본초경주에 "곤포(다시마 포함 해조류 한약재): 맛이 짜며 차고 독이 없으며, 주로 12가지 수종, 앵류, 결기, 창 등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다시마는 생으로 혹은 살짝 데쳐서 쌈으로 먹거나 튀각, 국물을 우려낼 때 이용되거나 차로도 애용합니다.
그 밖에 다시마는 친환경사료와 식품첨가제, 친환경농약, 식물의 신선도 유지 등에 사용되며, 요오드 추출원, 알긴산 나트륨, 만니톨 등의 공업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다시마는 대형 해조류로서 산업분야에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생물 정보 > 해조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조류 도감-5] 감태(Kajime) (0) | 2022.11.16 |
---|---|
[해조류 도감-4] 우뭇가사리(Agar) (0) | 2022.11.16 |
[해조류 도감-3] 청각(Sea staghorn) (0) | 2022.11.16 |
[해조류 도감-1] 미역(Sea mustard) (0) | 2022.11.13 |
해조류란? 해조류(Seaweed)의 정의 / 분류 (0) | 2022.11.12 |
댓글